상병수당 신청을 준비 중이신가요?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바로 “어디서 진단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가?”입니다. 모든 병원에서 되는 게 아니고, 공단이 지정한 ‘참여 의료기관’에서만 가능합니다.
2025년 현재 상병수당은 일부 시범지역에서 시행 중이며, 각 지역별로 참여 의료기관이 따로 정해져 있습니다. 지금부터 아주 쉽게 2025년 상병수당 참여 의료기관 확인 방법을 알려드릴게요!
참여 의료기관이란?
‘참여 의료기관’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약을 맺고, 상병수당 전용 진단서를 발급할 수 있는 병·의원을 말합니다.
해당 병원에서 발급받은 진단서만 공단 심사와 수당 지급 대상이 됩니다.
참여 의료기관은 공단이 매년 고시하며, 시범지역 내에서만 지정되어 있습니다.
2025년 참여 의료기관 확인 방법
PC 또는 모바일 웹 기준으로 순서대로 따라만 하시면 됩니다.
-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
👉 www.nhis.or.kr - ② 상단 통합 검색창에 “참여 의료기관” 검색
- ③ 검색 결과에서 “상병수당 참여의료기관 찾기” 클릭
- ④ 지역 선택 (시도 > 시군구) 후 조회 버튼 누르기
예: 강원도 → 원주시 선택하면 원주 지역 참여 의료기관 목록이 나타납니다.
참여 의료기관 조회 시 확인할 것
- ✔ 병원명
- ✔ 주소 (시범지역 내인지 확인)
- ✔ 전화번호
- ✔ 진단서 발급 여부
해당 병원이 상병수당 전용 진단서 발급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, 사전에 전화 문의하면 더욱 정확합니다.
모바일 앱에서도 가능할까?
현재 참여 의료기관 조회는 PC 웹 또는 모바일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하며, 국민건강보험 ‘The건강보험’ 앱에서는 조회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앱에서 안 보인다면 위 링크를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열어주세요.
결론
상병수당 신청의 첫 단추는 바로 참여 의료기관 선택입니다. 거주지 또는 근무지 기준 시범지역 내 의료기관인지, 상병수당 진단서 발급이 가능한지 꼭 확인하세요.
잘못된 병원에서 진단서를 받으면 수당 신청이 반려될 수 있으니, 아래 링크에서 사전 조회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Q&A)
Q1. 동네 병원에서도 진단서 발급 가능한가요?
A. 반드시 공단 지정 ‘참여 의료기관’이어야만 상병수당용 진단서 발급이 가능합니다.
Q2. 참여 의료기관은 변경되나요?
A. 네. 병원 측 신청 및 공단 승인에 따라 수시로 갱신될 수 있으니 매번 신청 전 조회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Q3. 진단서만 받으면 수당이 나오나요?
A. 진단서를 바탕으로 신청 후, 공단 심사 통과 시에만 지급됩니다.
Q4. 내 지역은 왜 참여 병원이 없나요?
A. 2025년 현재 상병수당은 8개 시범지역에서만 운영 중이며, 해당 지역 외 병원은 참여 대상이 아닙니다.